반응형
인사팀 업무는 크게 HRM 과 HRD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. HRM은 인적자원 관리에 수반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는 평가, 보상, 채용, 운영(조직, 인력), 총무, 복리후생, Global HR(해외법인) 업무 등이 있다. 반면 HRD는 인적자원개발 활동을 총칭하며 기업문화(조직문화), 사내 외 교육(직책, 직무역량 등) 활동 업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.
HRM, HRD 각 영역별 세부 인사팀 업무를 또 다시 소단위로 소분시키면 다음과 같다.
HRM 소단위 인사팀 업무
- 평가 : 평가제도 기획/ 설계/ 도입, 평가제도 운영
- 보상 : 보상제도 기획/ 설계/ 도입, 보상제도 운영
- 채용 : 리쿠르팅, 채용 운영, 채용 기획, 채용 브랜딩
- 운영 : 조직/인사 운영, 인사 발령, 근태 관리, R&R 관리, 대관 업무
- 총무 : 임대차계약, 구매, 사내 비품 관리, 출장 지원, 워크샵 및 각종 사내행사 지원
- 복리후생 : 사내 복리후생 제도 기획/ 설계/ 도입, 복리후생 제도 운영, 사내 복지기금 운영, 상조회 운영 등
- Global HR : 해외법인 설립, 제도 설계, 제도 운영, 해외 현지인력 HRM 지원 전반
HRD 소단위 인사팀 업무
- 기업문화(조직문화) : 핵심가치, 인재상, 미션, 비전, 일하는 방식 등 규정 및 수립/ 전파
- 사내 외 교육 활동 : 직책자 교육, 승진자 교육, 승급자 교육, 직무역량 교육, 사내외 세미나 및 교육 지원
HRM 및 HRD 로 구성된 인사팀 업무는 기업에 따라 수행하는 범위와 내용이 조금씩 다르지만, 상기에 기재된 업무 중 Global HR 을 제외한 나머지는 보편적인 기업의 인사팀에서 수행하는 업무다. 사실 이보다 훨씬 세분화하여 업무를 기재할 수도 있으나 큰 틀에서는 위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.
'회사생활 나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KR, MBO, KPI 의미 및 개념 차이 (성과관리 및 평가 기법 총 정리) (1) | 2022.08.10 |
---|---|
성과급 귀속 시기 - 손금 및 원천징수 처리 방법 (0) | 2022.08.08 |
이력서 퇴직사유 - 솔직하고 합리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이유 (예시 포함) (0) | 2022.08.05 |
퇴사할 때 남은 연차, 처리에 따른 득과 실 정리 (1) | 2022.08.04 |
연차수당 계산방법 - 근로조건 별 지급방식 상이 (0) | 2022.07.29 |
댓글